gc algorithm

    GC(Garbage Collection) - 2 (GC Algorithm 구동방식)

    GC Algorithm 구동방식 Garbage : 참조되지 않고 있는 객체 reachability : 참조되고 있는 상태 unreachability : 참조되지 않는 상태 참조 상태중 최초에 참조되는 상태를 루트 셋이라고 하는데, 루트 셋에 연결되지 않고 unreachability한 객체들을 garbage처리한다. Heap 영역에 있는 객체들은 총 4가지의 종류가 있다. Heap내의 다른 객체에 의한 참조 Java stack, 즉, 메소드 내에서 사용하는 지역변수와 파라미터에 의한 참조 네이티브 영역에서 생성된 객체에 의한 참조 메서드 영역의 정적 변수에 의한 참조 2,3,4가 루트 셋이다. Serial GC : 적은 CPU, 메모리일 때 적합. Parallel GC : 다수의 스레드를 GC로 사용.

    GC(Garbage Collection) - 1 (intro)

    GC(Garbage Collection) 누군가 GC에 대해서 알고 있냐고 물어봤을 때, 어떤 역할을 하는지 두루뭉술하게는 알지만 명쾌하게 설명해줄 수 없었다. Java를 주로 사용하는데 GC에 대해서 설명하지 못한다면 좋은 개발자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Naver D2의 글 중에서, GC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이해하는 것은 훌륭한 Java 개발자의 기본이라는 내용 일부를 본 적이 있다. 그래서 더욱 더 조사하고 알아보고 싶었다. Garbage Collection은 무엇일까? GC란 이미 할당된 메모리에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를 해제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의 대상은 Heap과 Method Area에서 사용되지 않는 Object를 의미한다. 그리고 소스상에서 close()는 ..